물과커피의 관계

물과커피

물과커피의 관계

맛있는 커피를 만들기는 많은 선택사항이 있지만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물”입니다. 커피의 98% 가 바로 물이기 때문입니다.

물과 커피가 만나는 시간이 중요합니다.

  • 커피가 추출한 후 산미가 도드라질 경우 :  추출시간을 늘려봅니다.  추출시간을 늘리면서 단맛과 함께 추출되면서 산미가 튀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커피가 추출된 후 쓴맛이 도드라질 경우 :  추출시간을 짧게 해봅니다. 쓴맛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추출시간을 조절하는 것

  • 커피의 맛을 더 좋게 만들 수 있는 방법 중 한 가지입니다.
  • 추출시간을 짧게 가져가면 산미가 강해지고 길게 가져가면 쓴맛이 강해집니다.

 

물 종류에 따른 커피맛의 차이

커피를 추출하고자 사용하는 물에 따라서 커피맛에 차이가 나타나게 됩니다. 보통 물까지 신경 쓰게 되었다면 커피의 끝판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가정용 머신과 캡슐 커피에 물통에 넣는 물에 따라서 커피맛도 미묘한 차이가 납니다.  스페셜티 시장이 점점 커지면서 원두의 퀄리티가 높아졌고 소비자 또한 커피를 선택하는 기준이 달라졌습니다.

물의 경도에 따라서 커피맛이 달라집니다. 칼슘과 마그네슘의 햠량이 곧 물의 경도를 말합니다.  물에 있는 미네랄 성분이 커피의 다양한 산, 유기화합물을 끌어당기면서 추출하게 되는데, 너무 적은 미네랄 성분은 추출력이 약합니다.  그러면 커피의 맛있는 성분이 미처 나오지 못하여 좋은 커피를 마실 수 없게 되는 거죠.  미네랄 성분이 너무 많을 경우는 되러 커피 추출에 방해요소가 됩니다. 그래서 커피 추출에 필요한 물을 선택할 때 미네랄 성분을 보고 선택하면 풍성하게 많은 플레이버를 느낄 수 있는 커피를 마실 수 있습니다.

SCA 기준

커피추출에 있어 밸런스가 좋게 나오는 표준 : 이상적인 경도는 17~85mg/ L

 

생수 브랜드별 성분비교

생수에서 4가지 무기질 성분 중 물맛에 큰 영향을 주는 성분은 마그네슘이며 함량이 높으면 쓴맛이 강하고 적으면 단맛이 느껴집니다. 칼슘도 함량이 높을수록 쓴맛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두 성분이 높을수록 건강에 좋고 칼륨은 물맛에 영향은 없지만 높다면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커피 추출에는 되러 높은 미네랄 수치는 커피성분 추출에 방해 요소가 됩니다. 생수 브랜드 비교는 핸드드립으로 내릴 때 같은 원두, 같은 분쇄도, 같은 도징량으로 물만 바꿔서 추출하다보면 플레이버가 많이 나타나는 물을 찾을 수 있습니다.  현재 저는 홈카페로 즐기고 있는 물 선택으로는 강원 평창수로 추출하고 있습니다.  스페셜티로 약한 로스팅이 된 원두와 잘 어울리는 물인 것 같습니다. 다만, 원두의 생산지, 로스팅 정도, 도징량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백산수 

칼륨 : 1.4~5.3 / 마그네슘 : 2.1~5.4 / 칼슘 : 3.0~5.8 /실리카: 40.0~48.0 / 불소: 0~1.0 / 나트륨 : 4~12

삼다수 

칼슘 : 2.2~3.6 / 칼륨: 1.5~3.4 / 나트륨: 4.0~7.2 / 마그네슘 1.0~2.8 / 불소 : 불검출

아이시스8.0

칼슘: 5~20.0 / 칼륨: 0 ~2.0 / 나트륨: 0.0~3.0 / 마그네슘 3.0~7.0 / 불소: 0~1.0

평창수

칼슘: 5.8~34.1 / 칼륨: 0.3~1.4 / 나트륨 :2.5~10.7 / 마그네슘 : 0.8~5.4 / 불소 :0.1~1.2

동원샘물

칼슘: 20.9~54.9 / 칼륨: 0.5~2.3 / 나트륨 : 4.0~13.0 / 마그네슘 : 1.3~8.4 / 불소 : 0.1~1.7

  • 우리가 평소에 즐기는 물은 보통 ph7 : 알카리도가 높으면 커피 성분 추출에 유리합니다. 8 이상의 경도는 산미를 중화시키므로 적정한 ph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원두만 블랜드 하는 것이 아니라 생수도 섞어서 사용하는 방법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커피머신 정수필터

  • 커피 머신에 장착하는 정수 필터 브랜드에 따른 함량 차이도 꼭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에스프레소 머신의 사용량과 용량,제빙기, 온수 디스펜서까지 본다면 카페에서는 물의 사용량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에 따른 교체 주기 또한 잘 판단해서 교체해주셔야 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